미래를 설계하는 개발자

고정 헤더 영역

글 제목

메뉴 레이어

미래를 설계하는 개발자

메뉴 리스트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미디어로그
  • 위치로그
  • 방명록
  • 분류 전체보기 (88)
    • C 언어 (7)
    • C++ 언어 (7)
    • Java (10)
      • Java Error (2)
      • Java Setup (1)
      • Java Study (2)
      • Design Patterns (2)
    • Spring (23)
      • Restfull API (2)
      • SpringBoot-React (5)
      • SpringBoot-MSA (16)
    • WebProgramming (26)
      • HTML (0)
      • CSS (0)
      • Javascript (1)
      • Error (0)
      • JSP (25)
    • 자료구조 (3)
    • DataBase (7)
      • Data Modeling (1)
      • Oracle Database (3)
      • SQL (3)
    • Android (0)
    • 기타 (2)
    • Git (2)
    • Algorithm (1)
    • 끄적끄적 (0)

검색 레이어

미래를 설계하는 개발자

검색 영역

컨텐츠 검색

자료구조

  • Single LinkedList - 간단한 성적처리 C언어

    2018.01.26 by ChrisMare

  • 희소행렬(SparseMatrix) 연산 - 덧셈

    2017.10.01 by ChrisMare

  • SparseMatrix(희소행렬) - 정의

    2017.09.30 by ChrisMare

Single LinkedList - 간단한 성적처리 C언어

#define _CRT_SECURE_NO_WARNINGS#include #include #include const char scoName[5][10] = { "Kor","Eng","Mat","Total","Avg" }; typedef struct card {char name[10];int score[4];float avg;struct card *next;// 다음 노드를 가르키는 용도}Card; void newNode(Card **new1);void InsertNode(Card **head, Card **new1, Card **cur);void deleteNode(Card **head, Card **cur, Card **del);void modifyNode(Card **head, Card **cur);v..

자료구조 2018. 1. 26. 17:56

희소행렬(SparseMatrix) 연산 - 덧셈

자료구조 과제 01희소 행렬의 합 희소 행렬의 합은 두 희소 행렬 A와 B의 합을 희소 행렬 C에 저장하는 것이다. 먼저 희소 행렬의 각 항은 다음 구조체로 정의된다. typedef struct {int row;int col;int value;} element; 그러면 희소 행렬은 다음 구조체로 정의된다. typedef struct {element data[100];int rows; // 행의 개수int cols; // 열의 개수int terms; // 항의 개수} SparseMatrix; 위와 같이 정의된 희소 행렬들을 가지고 두 희소 행렬의 합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한다. (합 역시도 희소행렬로 표현한다.) 입력> 입력은 파일 입력으로 하고 입력 파일의 이름은 “input.txt”로 한다. 입력 파..

자료구조 2017. 10. 1. 00:17

SparseMatrix(희소행렬) - 정의

희소행렬(SparseMatrix) 희소행렬(sparse matrix)은 행렬의 값이 대부분 0인 경우를 가리키는 표현이다. 그와 반대되는 표현으로는 밀집행렬(dense matrix), 조밀행렬이 사용된다. 개념적으로 희소성은 시스템들이 약하게 연결된 것에 해당한다. 한 줄로 나열된 공과 공이 스프링으로 양 옆으로 하나씩 연결되었을 때 이것은 희소 시스템이다. 그와 반대로 한 줄의 공들이 여러 방향의 공들과 스프링으로 연결되었을 때 이 시스템은 밀집 행렬이 될 수 있다. 희소의 개념은 조합론과 네트워크 이론 등과 같은 응용분야에서 유용하다. 희소행렬이 나온 이유 행렬은 공백 또는 0 값을 가진 대부분의 요소와 비영 요소의 잔존이 비선형적 형식의 행렬을 통해 이루어질 때, '희소하다(성기다, 듬성듬성하다, ..

자료구조 2017. 9. 30. 23:36

추가 정보

인기글

최신글

페이징

이전
1
다음
TISTORY
미래를 설계하는 개발자 © Magazine Lab
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

티스토리툴바